기억 책략
어떠한 정보를 기억할 때 사용하는 인지적 행동을 기억 책략이라고 한다. 기억 책략은 기억의 세 단계인 부호화, 저장 그리고 인출 과정에서 모두 사용된다. 효율적인 기억을 위한 기억 책략의 방법은 다양하다. 여기서는 가장 대표적인 기억 책략인 시연, 조직화 그리고 정교화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시연(rehearsal)은 여러 번 반복하여 외우는 것이며 단기 기억에 도움을 준다. 예컨대, 음식을 주문할 때 가게 전화번호를 반복적으로 말하며 외우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아동은 만 6~7세에 시연을 하기 시작하지만, 만 9세가 되어서야 성인과 비슷한 수준의 시연 능력을 갖는다. Flavell, Beach와 Chinsky(1966)는 아동의 시연이 그들의 회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서 실험자는 만 5세와 만 10세인 아동에게 7개의 그림을 보여 주고 그중 3개를 차례대로 가리켰다. 아동은 15초가 지난 뒤에 실험자가 가리켰던 세 개의 그림을 기억해서 말해야 했다. 실험 결과, 만 5세 아동보다 만 10세 아동이 중간의 15초 동안 세 개의 그림을 반복해서 말하면서 외우려고 노력했다. 또한 이렇게 정보를 반복적으로 말하면서 시연했던 아동이 시연하지 않았던 아동보다 기억을 더 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통해, 나이가 많은 아동이 어린 아동에 비해 시연과 같은 기억 책략을 더 잘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직화(organization)는 주어진 정보를 범주화해서 외우는 책략이다. 이 책략은 순서대로 정보를 기억하지 않아도 될 때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동이 휴지, 지우개, 옷, 연필, 수세미를 외워야 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아동은 휴지, 옷, 수세미는 생필품으로, 지우개와 연필은 학용품으로 범주화해서 외울 수 있다. 아동은 주로 시연을 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조직화도 하기 시작한다. 만 4~5세의 아동도 조직화를 할 수 있지만 이를 적절히 적용하지는 못한다(Williams & Goulet, 1975).
정교화(elaboration)는 특정 정보를 다른 것과 연관 지어 기억하는 책략이다. 예를 들어, 교과서 내용을 자신의 말로 고쳐 쓰거나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어 외우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정교화는 약 만 11세에 사용하기 시작하며 성인이 됐을 때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Berk, 2003). 이와 같은 기억 책략을 잘 활용해 건망증을 극복하고 기억 콘테스트에서 3년 연속 우승한 Tatiana Cooley라는 여성이 있다. 그녀는 정보를 여러 번 소리 내어 외우는 시연화 방법과 알고 있는 정보와 연관시켜 기억하는 정교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기억 콘테스트에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많은 연구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녀와 같이 기억 책략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기억 책략을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오류에는 생성 결함과 사용 결함이 있다. 생성 결함(production deficiency)이란, 책략을 배우고 이를 통해 과제를 수행했음에도 다음 과제에서 책략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하는 것이다. 사용 결함(utilization deficiency)은 책략을 사용하지만 이를 통해 이득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Woody-Dorning과 Miller(2001)의 연구에 의하면, 기억력이 좋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사용 결함이 적게 나타난다. Clerc와 Miller(2013)는 만 4세, 4.5세 그리고 5세를 대상으로 생성 결함과 사용 결함에 대해 연구했는데, 그 결과만 4세 아동들은 생성 결함을 보였다. 즉, 만 4세 아동들은 새로운 과제를 수행할 때 이전에 배운 책략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한 것이다. 사용 결함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났지만 스스로 책략을 생성해 내고 활용한 아동의 경우는 사용 결함이 덜 나타났다.
'발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위 인지 (0) | 2022.08.30 |
---|---|
실행기능(억제적 통제, 인지적 유연성, 작업기억) (1) | 2022.08.26 |
인지의 중요한 기능 : 주의, 기억 (0) | 2022.08.24 |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0) | 2022.08.17 |
Piaget와 Vygotsky의 이론에 발달 주제 적용하기 (0) | 2022.08.16 |